Cloud/Kubernetes 썸네일형 리스트형 NFS를 볼륨으로 사용하는 Pod 만들기 (2) - StorageClass 생성하지 않아도 된다. apiVersion: v1 kind: PersistentVolume metadata: name: nfs-pv spec: capacity: storage: 1Gi # storageClassName: X persistentVolumeReclaimPolicy: Retain accessModes: - ReadWriteOnce nfs: server: 192.X.X.X path: '/nfs' readOnly: false --- kind: PersistentVolumeClaim apiVersion: v1 metadata: name: nfs-pvc spec: # storageClassName: X accessModes: - ReadWriteOnce resources: .. NFS를 볼륨으로 사용하는 Pod 만들기 (1)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busybox labels: app: busybox spec: volumes: - name: nfs-hostpath hostPath: path: /nfs [실제 nfs가 mount 된 경로] containers: - image: busybox imagePullPolicy: IfNotPresent name: busybox volumeMounts: - mountPath: /var/www/html [Pod 경로] name: nfs-hostpath ceph osd 생성 안될 때 ceph cluster를 재구성시 osd가 생성되지 않을 때가 있다. 이 때에 operator 로그를 보아도 커넥션이 안되서 네트워크 문제인가 하고 아리송할 수 있는데 ceph를 구성하는 호스트들의 ceph 폴더를 지우고 클러스터를 재구성하면 잘 된다. ls /var/lib/rook/ rm -rf /var/lib/rook/ 보면 이전에 구성했던 파일들이 남아있어 문제가 발생한다. 삭제 이후 클러스터 구성을 다시 해주면 osd가 잘 뜨는 것을 볼 수 있다. 툴박스를 설치했다면 명령어를 통해 ceph 상태를 체크하도록 한다. kubectl exec -it -n rook-ceph [rook-ceph-tools-pod] -- ceph -s Kubevirt 사용 시 operator pod만 뜰 때 오전 내내 시간 낭비해서 적어본다. kubevirt 를 사용하면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은 포드들이 나타난다. kubevirt virt-api-6f7f4c755-6lc44 1/1 Running 0 50s kubevirt virt-controller-fb69bcfb6-8v69j 1/1 Running 0 29s kubevirt virt-handler-h76mw 1/1 Running 0 29s kubevirt virt-operator-98f77c5cd-wnbgk 1/1 Running 0 13m 근데 아무리 해도 operator pod만 뜨고 나머지는 뜨지 않아서 로그를 보았다. kubectl logs pod/[pod-name] -n kubevirt 이 명령어로 보면된다. "system:serviceaccounts.. Persistent Volume과 Persistent Volume Claim Kubernetes는 스토리지 관리를 Persistent Volume과 Persistent Volume Claim이라는 두 가지 개념으로 제공한다. PersistentVolume(PV)는 직접 저장하는 부분이고 PersistentVolumeClain(PVC)는 사용자가 저장소에 하는 요청이다. PVC는 리소스가 얼마나 필요한지, 어떤 액세스 모드를 취할지 액션을 담고 있다. 쉽게 이해하자면, 아래처럼 정의될 것이다. PV = 클러스터의 리소스 PVC = 리소스에 대한 요청 PV는 Provisioning - Binding - Using - Reclaiming 의 생명주기를 가진다. 1. Provisioning PV는 정적 프로비저닝과 동적 프로비저닝 두 가지 방법으로 할 수 있다. 정적 프로비저닝 - 클러.. Kubernetes의 Virtualisation Operator인 KubeVirt 소개 (따단) 개인적인 공부를 위하여 해당 문서를 번역한 포스팅입니다. 정확한 정보가 아닐 수 있습니다. Kubervirt는 libvirt virtual machine의 관리가 가능한 Kubernetes add-on이다. 이 add-on은 Kubernetes 환경에서 Virtaul machine(이하 VM)의 스케줄링을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배포 방식에서 Container 방식의 채택이 증가하게 되자 어플리케이션의 이식성이 중요하게 되었다. Kubernetes는 Kubernetes의 기능과 뛰어난 커뮤니티 지원을 통해 배포 프레임워크의 선두 주자가 되고 있다. 어플리케이션을 Container로 만들 수 없을 때에도 공통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다른 워크로드를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Operator는 Kubernetes.. Minikube로 KubeVirt 시작하기 (3) CID(Containerized Data Importer) 실험 - CID는 KuberVirt와 함께 사용되어 가상머신 이미지를 가져오는 유틸리티 - PVC를 생성하고, disk.img라는 원시 이미지를 PVC에 작성 1. Install the CDI wget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virt/kubevirt.github.io/master/labs/manifests/storage-setup.yml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hostpath-provisioner namespace: kube-system spec: replicas: 1 selector: matchLabels: k8s-app: hos..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