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네트워크 전달 방식 패킷 / 서킷 1. Packet Switching - TCP/IP가 이 예 -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쪼개서 전송 - store and forward 방식을 따름 - 패킷은 출발지, 목적지 정보를 가지고 있음 -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경로를 설정하고, 이동하기 위해서 큐에서 대기 - 큐의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손실 발생 2. Circuit Switching - 전화가 이 예 - 하나의 회선을 할당 받아 데이터를 주고 받음 - 통신을 위한 연결이 우선되고 연결 이후 출발지-목적지 - 회선 독점 - 실시간 통신에 사용 (속도와 성능 일정) - FDM(Frequency Division Multitasking) 대역폭 나눔 /TDM (Time Division Multitasking) 시간으로 나눔 SDN 네트워크 -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들의 집합 프로토콜 - 시스템이 전송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때 따르는 특정 규칙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 한 사람 / 여러 명의 특정한 사람 / 같은 대역의 모든 사람 리피터(1) - 브리지(2) - 라우터 OSI 7계층 기존의 네트워크 장비들은 다음 두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 라우팅(Routing) - Control Plane : 길 찾기 - 포워딩(Forwarding) - Data Plane : 앞으로 보내기 (전달) 라우터는 여태 Data Plane + Control Plane이 한 번에 묶여있었다. 하지만 SDN은 Data Plane과 Control Plane을 분리하여 라우터(기계)에게는 Forwarding만 하게 하고 C.. Kubernetes Worker 해제 설치하다보면 Worker를 해제해야하는 때가 온다. 물론 그냥 이렇게 해도 된다 kubeadm reset 하지만 문제점이 많다. 워커는 이미 해제되어 있는데 마스터에 포드는 그대로 떠있다던가... 지우는게 아주 골치아파지니까 해제 이후 리셋해주도록 한다. root@C1-3:~# kubectl get nodes NAME STATUS ROLES AGE VERSION c1-3 Ready master 138m v1.15.3 c1-6 Ready 99m v1.15.3 c1-9 Ready 99m v1.15.3 노드 정보를 확인한 이후 지워줄 노드를 drain 해준다 root@C1-3:~# kubectl drain c1-9 root@C1-3:~# kubectl get nodes NAME STATUS ROLES AGE .. docker container의 흔적 내일 출장가야해서 서버 엎고 다시 설치하는데 제일 중요한 마스터 칭구가 자꾸.. 컨테이너의 흔적이 남아서 도커가 제대로 설치가 안됐다. 퇴근하고싶은데 퇴근 못하게 하는 흔적을 정리해놓는다. systemctl restart docker 도커가 삭제도 되고 설치도 잘되는데 restart 하는 순간 문제가 생겼다. 계속 fail이 뜨길래 뭐지..? 하다가 보니 이전 흔적이 남아있기 때문이라고 git에서 알려주더라. 그래서 임의로 파일을 삭제하려했다. rm -rf /var/lib/docker 오~ 안되는데~ 이유는 모르지만 안됐다. 정확한 이유는 이 것이였다. rm: cannot remove '/var/lib/docker/containers/7f17ef617eb891bc1f7fb90f00958779b75ee96.. 내 DOCKER 저장소 만들기 회사 서버에 존재하던 저장소가 닫혀서 울고 있자 직접 구축해서 관리하라고 미션을 주셨다. 감사한 마음으로 진행한다. - docker version : 18.09.7 / OS : Ubuntu 16.04 - 먼저 도커 레지스트리 이미지를 가져온다. docker pull registry:latest - 가져온 이미지를 확인해보자. docker image ls | grep registry registry latest f32a97de94e1 6 months ago 25.8MB - /etc/init.d/docker 파일을 열어서 옵션을 추가해준다. vi /etc/init.d/docker DOCKER_OPTS=--insecure-registry :5000 아래 링크를 보면 Ubuntu 14대에서는 이런 방법을 사용해.. Kubernetes 설치 중 metal-lb controller 생성 문제 - metal-lb controller 제대로 안뜰 때 -failed to set bridge addr: "cni0" already has an IP address- - controller가 계속 생성중일때가 있다. 그럴 땐 ifconfig로 cni0, flannel.1 을 확인해본다. describe 해보면 cni0이 IP를 이미 가지고 있다고 나오는데 이는 재설치 시 이전 환경과 부딪혀서 그런 것 같다. kubeadm reset systemctl stop kubelet systemctl stop docker rm -rf /var/lib/cni rm -rf /var/lib/kubelet/* rm -rf /etc/cni ifconfig cni0 down ifconfig flannel.1 down ifco.. File Descriptors 이해하기 FD라는 단어를 처음 들었을 때 나는 심각한 고민을 하였다. FD가 뭐지? F는 대부분 File이고... D는 Directory인가? 파일 디렉터리...? 모르는 건 물어보는 게 답이다. 구글에 fd linux라고 치니 나왔다. 추측이 반은 맞고 반은 틀렸는데 File Descriptor이라고 한다. 개념이 도통 이해가지 않으니 문서 하나를 번역해가면서 정리해보겠다. 읽은 문서는 이 것이다. - 문서에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으며 100프로 신뢰 금지다 ㅠㅠ 물론 내 것도!! http://www.bottomupcs.com/file_descriptors.xhtml File Descriptors File descriptors are an index into a file descriptor table stor..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