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썸네일형 리스트형 BOSH를 이용하여 VM 생성해보기 BOSH는 IaaS 환경에서 Stemcell, Deployment, Release를 이용하여 VM을 관리하는 툴이다. 위 그림처럼 사용자는 CLI를 통해 접근할 수 있고 BOSH를 통해 띄워진 VM은 BOSH Agent를 가지고 있어서 개별 관리를 해준다. Release Engineering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이는 잦은 릴리즈를 뜻하는데 요즘 유행하는 개발환경과 공통점이 많아보인다. Release Engineering이라는 개념은 아래 글을 보면 빠르게 이해할 수 있다. 언제나 좋은 글을 번역해주는 분들에게 감사드린다. http://www.looah.com/article/view/983 독점 기사: Facebook 릴리즈 엔지니어링 은밀히 들여다 보기 | Looah 독점 기사: Facebook 릴리즈.. 서버실에 서버 설치한거 목격한 후기 서버는 대학 다닐때부터 질리도록 봤지만 정작 서버 내부가 어떤지(별로 궁금하지 않음)도 잘 모르고 걔네는 원래 거기 있는 느낌이였는데 좋은 기회를 얻어 서버 설치 장면을 보았다. 메모한 내용을 블로그에 옮겨본다. 일단 전산실 직원분들이 서버를 배치할 위치에 선을 뽑아놓았다. 난 랜선 하면 이거밖에 모르는데 ㅋㅋㅋ 바닥에 박혀있는 랜선은 이런 모양이였다. 광랜이라고 하셨는데 이것도 종류가 여러가지고 @_@ 이걸 서버에 연결하려면 또 지빅이라는게 필요하다. 암튼 복잡복잡..얘네들끼리 호환이 되는것도 있고 안되는 것도 있는데다가 지빅도 종류가 있고 가격도 후덜덜해서 한 번 발주 넣을 때 잘 넣어야 한다고 한다. 내가 SW를 하는게 맞는건지 의심스러운 순간이다~ 암튼 이렇게 하고나면 랙을 설치한다. 이 쯤 되면.. PaaS-TA 교육 이론 정리 1. Cloud Basic 1) Cloud 이해 (1) 기본속성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네트워크 기반의 컴퓨팅 기술로 컴퓨팅 리소스를 데이터센터에 대량으로 집적시킨 후, 개별 이용자가 요구하는 만큼 가상으로 분리하여 정보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사용량에 비례하여 비용이 청구되는 서비스이다. - 특징 : 주문형 셀프 서비스, 광범위한 네트워크 접속, 리소스 공유, 신속한 확장성, 측정 가능한 서비스 - 유용성 : 경제성, 유연성, 가용성, 빠른 구축 속도 (2) Cloud 발전과정 - 다양한 기업들이 클라우드 기반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 최근 오픈소스 기반의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이 각광 (3) Cloud 기반 사업 추진 기업 (4) 트렌드 2) Cloud Model 및 특징 이해 (1) Cloud Model.. PaaS-TA 교육 5일차 (0) VM을 켜..준다... vboxmanage startvm $(bosh int ~/workspace/bosh-deployment/state.json --path /current_vm_cid) --type headless source admin.sh 왜 이렇게 하는걸까? bosh -e [vbox] vms 이건 alias 되어있기 떄문이다. bosh envs 보면 생성한 BOSH VM이 192.168.50.56의 IP를 가지며 vbox로 Alias로 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 bosh -e 192.168.50.56 vms bosh -e vbox vms 이와 같은 것을 알 수 있다. 이 것은 언제 정의를 하느냐. manifest를 기반으로 한 VM을 생성할 때 있다. bosh create-env man.. PaaS-TA 교육 4일차 - PaaS-TA는 CFAR+CFCR을 채택하여 사용했음 - PaaS-TA는 제공 가능한 서비스가 있으며 현재 우리가 배포한 것은 only PaaS-TA 뿐이다. 선택적으로 서비스를 설치해놓고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게 한다. - PaaS-TA의 컨셉은 배포한 VM에 Diego Cell을 가지고 있어 컨테이너를 이 위에 올려주고 관리 역시 PaaS-TA가 한다. - 주체는 PaaS-TA이며 다른 서비스들에는 Service Broker가 있어서 PaaS-TA가 서비스들을 인지한다. 똑같은 서비스(Mysql은 걍 Mysql임)인데 PaaS-TA가 사용하기 위해서 Broker를 가지고 있는 것이며, 살리고 죽이는 것은 BOSH가 하는 것이기 때문에 VM의 관리는 BOSH가 한다. - 시험지 리뷰 (총 25문제.. PaaS-TA 교육 3일차 - 오전 이론 교육 : BOSH 설치 이후에 PaaS-TA Cloud Config를 세팅해주어야 함 - 시험 : Cloud-config의 값(BOSH 1,2의 차이점), 배포 중 사용하는 명령어나 실습 내용(BOSH/CL), ssh 로그인 하는 방법, 서비스들이 어떻게 정상동작하는지 확인하는 방법(vitals), cf 명령어(유저 생성하는 법, 어플리케이션 배포하는 방법), jumpbox 만들기, credhub 등등, 내일 진행하는 내용 - 체험하기 계정 (1) IaaS 따라 값이 다르기 때문에 IaaS에 맞게 수정해주어야 함 - 네트워크 존, flavor 같은 것을 수정 (2) bosh update cloud-config 명령어를 통해 수행 (3) Openstack 기준 - vm_type에 사용하게 될.. PaaS-TA 교육 2일차 2일차 PaaS-TA 구축 - BOSH 개념 - Inception VM(micro BOSH)을 통해서 BOSH를 배포 - Release + Stemcell + Manifest를 Bosh CPI를 통해서 IaaS 구축 - PaaS-TA 3.5를 기준으로 BOSH 1, 2가 갈림 - BOSH 1, 2의 차이 - Cloud-config 파일의 유무 - init(1), cli(2) 사용 - BOSH는 구성에 순서를 가지고 있음(서로의 의존성이 있음) - credhub : 인증정보 저장소 - 인프라환경 구성 PaaS-TA 구축 - Inception VM 설치 (1) VM EXSI를 이용하여 Inception VM 생성 - Spec : CPU 14core, Memory 15GB, HDD 100GB - Network..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4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