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PaaS-TA 교육 5일차 (0) VM을 켜..준다... vboxmanage startvm $(bosh int ~/workspace/bosh-deployment/state.json --path /current_vm_cid) --type headless source admin.sh 왜 이렇게 하는걸까? bosh -e [vbox] vms 이건 alias 되어있기 떄문이다. bosh envs 보면 생성한 BOSH VM이 192.168.50.56의 IP를 가지며 vbox로 Alias로 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 bosh -e 192.168.50.56 vms bosh -e vbox vms 이와 같은 것을 알 수 있다. 이 것은 언제 정의를 하느냐. manifest를 기반으로 한 VM을 생성할 때 있다. bosh create-env man..
PaaS-TA 교육 4일차 - PaaS-TA는 CFAR+CFCR을 채택하여 사용했음 - PaaS-TA는 제공 가능한 서비스가 있으며 현재 우리가 배포한 것은 only PaaS-TA 뿐이다. 선택적으로 서비스를 설치해놓고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게 한다. - PaaS-TA의 컨셉은 배포한 VM에 Diego Cell을 가지고 있어 컨테이너를 이 위에 올려주고 관리 역시 PaaS-TA가 한다. - 주체는 PaaS-TA이며 다른 서비스들에는 Service Broker가 있어서 PaaS-TA가 서비스들을 인지한다. 똑같은 서비스(Mysql은 걍 Mysql임)인데 PaaS-TA가 사용하기 위해서 Broker를 가지고 있는 것이며, 살리고 죽이는 것은 BOSH가 하는 것이기 때문에 VM의 관리는 BOSH가 한다. - 시험지 리뷰 (총 25문제..
PaaS-TA 교육 3일차 - 오전 이론 교육 : BOSH 설치 이후에 PaaS-TA Cloud Config를 세팅해주어야 함 - 시험 : Cloud-config의 값(BOSH 1,2의 차이점), 배포 중 사용하는 명령어나 실습 내용(BOSH/CL), ssh 로그인 하는 방법, 서비스들이 어떻게 정상동작하는지 확인하는 방법(vitals), cf 명령어(유저 생성하는 법, 어플리케이션 배포하는 방법), jumpbox 만들기, credhub 등등, 내일 진행하는 내용 - 체험하기 계정 (1) IaaS 따라 값이 다르기 때문에 IaaS에 맞게 수정해주어야 함 - 네트워크 존, flavor 같은 것을 수정 (2) bosh update cloud-config 명령어를 통해 수행 (3) Openstack 기준 - vm_type에 사용하게 될..
PaaS-TA 교육 2일차 2일차 PaaS-TA 구축 - BOSH 개념 - Inception VM(micro BOSH)을 통해서 BOSH를 배포 - Release + Stemcell + Manifest를 Bosh CPI를 통해서 IaaS 구축 - PaaS-TA 3.5를 기준으로 BOSH 1, 2가 갈림 - BOSH 1, 2의 차이 - Cloud-config 파일의 유무 - init(1), cli(2) 사용 - BOSH는 구성에 순서를 가지고 있음(서로의 의존성이 있음) - credhub : 인증정보 저장소 - 인프라환경 구성 PaaS-TA 구축 - Inception VM 설치 (1) VM EXSI를 이용하여 Inception VM 생성 - Spec : CPU 14core, Memory 15GB, HDD 100GB - Network..
PaaS-TA 교육 1일차 1일차 12/10 - Raviloi 발표 - Dynamic Router - 애플리케이션만 올리면 기능을 통해서 인터넷으로 바로 서비스가 가능 PaaS-TA는 Iaas+Container 기술 / 특정 VM에 사용자의 application이 배포가 되고 이 형상은 container로 / VM이 전부 사용되면 IaaS가 VM을 또 만듦(diego cell) container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garden) VM-Garden-컨테이너 생성-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삽입-실행-(코드+실행+옵션)Droplet 전달-Blobstore (이미지)저장-재배포 왜 컨테이너를 저장했다가 다시 배포할까? - 클라우드는 가용성을 보장하기 떄문에 문제가 생겼을 때 대처하기 위해서 - 특정 시점에 있는 형상을 기록하기 위해서..
Kubernetes의 Virtualisation Operator인 KubeVirt 소개 (따단) 개인적인 공부를 위하여 해당 문서를 번역한 포스팅입니다. 정확한 정보가 아닐 수 있습니다. Kubervirt는 libvirt virtual machine의 관리가 가능한 Kubernetes add-on이다. 이 add-on은 Kubernetes 환경에서 Virtaul machine(이하 VM)의 스케줄링을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배포 방식에서 Container 방식의 채택이 증가하게 되자 어플리케이션의 이식성이 중요하게 되었다. Kubernetes는 Kubernetes의 기능과 뛰어난 커뮤니티 지원을 통해 배포 프레임워크의 선두 주자가 되고 있다. 어플리케이션을 Container로 만들 수 없을 때에도 공통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다른 워크로드를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Operator는 Kubernetes..
Minikube로 KubeVirt 시작하기 (3) CID(Containerized Data Importer) 실험 - CID는 KuberVirt와 함께 사용되어 가상머신 이미지를 가져오는 유틸리티 - PVC를 생성하고, disk.img라는 원시 이미지를 PVC에 작성 1. Install the CDI wget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virt/kubevirt.github.io/master/labs/manifests/storage-setup.yml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hostpath-provisioner namespace: kube-system spec: replicas: 1 selector: matchLabels: k8s-app: h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