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Kubevirt 사용 시 operator pod만 뜰 때 오전 내내 시간 낭비해서 적어본다. kubevirt 를 사용하면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은 포드들이 나타난다. kubevirt virt-api-6f7f4c755-6lc44 1/1 Running 0 50s kubevirt virt-controller-fb69bcfb6-8v69j 1/1 Running 0 29s kubevirt virt-handler-h76mw 1/1 Running 0 29s kubevirt virt-operator-98f77c5cd-wnbgk 1/1 Running 0 13m 근데 아무리 해도 operator pod만 뜨고 나머지는 뜨지 않아서 로그를 보았다. kubectl logs pod/[pod-name] -n kubevirt 이 명령어로 보면된다. "system:serviceaccounts.. Docker Private Registry에 등록된 이미지 지우기 이미지 조회 curl -X GET [Registry Address]/v2/_catalog 이미지 태그 조회 curl -X GET [Registry Address]/v2/[Image Name]/tags/list Docker Digest 얻기 curl -v --silent -H "Accept: application/vnd.docker.distribution.manifest.v2+json" -X GET [Registry Address]/v2/[Image Name]/manifests/[Tags] | grep Docker-Content-Digest sha:~로 시작하는 애가 필요한 애다. 이미지 삭제하기 curl -v --silent -H "Accept: application/vnd.docker.distribut.. Persistent Volume과 Persistent Volume Claim Kubernetes는 스토리지 관리를 Persistent Volume과 Persistent Volume Claim이라는 두 가지 개념으로 제공한다. PersistentVolume(PV)는 직접 저장하는 부분이고 PersistentVolumeClain(PVC)는 사용자가 저장소에 하는 요청이다. PVC는 리소스가 얼마나 필요한지, 어떤 액세스 모드를 취할지 액션을 담고 있다. 쉽게 이해하자면, 아래처럼 정의될 것이다. PV = 클러스터의 리소스 PVC = 리소스에 대한 요청 PV는 Provisioning - Binding - Using - Reclaiming 의 생명주기를 가진다. 1. Provisioning PV는 정적 프로비저닝과 동적 프로비저닝 두 가지 방법으로 할 수 있다. 정적 프로비저닝 - 클러.. set -o vi 이 카테고리는 엔지니어로 일하면서 알게되는 팁을 적을까 한다. 블로그 방문자가 이제 일평균 100여명을 넘어가고 있는데 좋은것 같다가도 통계를 보면 대부분 파이썬이라..ㅎㅎ... 열심히 해야지... 4개월동안 관찰한 결과 엔지니어마다 명령어를 사용하는 습관이 있는데 어떤 분은 alias를 지정해서 하는 분이 있고 (대부분 명령어가 길다보니 ㅠ_ㅠ) set -o vi를 통해 한 번 사용한 명령어를 다시 사용하는 분도 있고.. 가지각색이다. ◐_◐ ◑_◑ 나는 처음 접하게 된 set -o vi에 대해 알아볼까한다. $ set -o vi 콘솔창에 쳐보면 별다른 말 없이 적용된다. 저 명령어는 편집기를 emacs에서 vi로 바꿔준다는 뜻이다. vi로 바꾸면 무엇이 좋을까? 콘솔내에서 vi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 BOSH를 이용하여 VM 생성해보기 BOSH는 IaaS 환경에서 Stemcell, Deployment, Release를 이용하여 VM을 관리하는 툴이다. 위 그림처럼 사용자는 CLI를 통해 접근할 수 있고 BOSH를 통해 띄워진 VM은 BOSH Agent를 가지고 있어서 개별 관리를 해준다. Release Engineering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이는 잦은 릴리즈를 뜻하는데 요즘 유행하는 개발환경과 공통점이 많아보인다. Release Engineering이라는 개념은 아래 글을 보면 빠르게 이해할 수 있다. 언제나 좋은 글을 번역해주는 분들에게 감사드린다. http://www.looah.com/article/view/983 독점 기사: Facebook 릴리즈 엔지니어링 은밀히 들여다 보기 | Looah 독점 기사: Facebook 릴리즈.. 서버실에 서버 설치한거 목격한 후기 서버는 대학 다닐때부터 질리도록 봤지만 정작 서버 내부가 어떤지(별로 궁금하지 않음)도 잘 모르고 걔네는 원래 거기 있는 느낌이였는데 좋은 기회를 얻어 서버 설치 장면을 보았다. 메모한 내용을 블로그에 옮겨본다. 일단 전산실 직원분들이 서버를 배치할 위치에 선을 뽑아놓았다. 난 랜선 하면 이거밖에 모르는데 ㅋㅋㅋ 바닥에 박혀있는 랜선은 이런 모양이였다. 광랜이라고 하셨는데 이것도 종류가 여러가지고 @_@ 이걸 서버에 연결하려면 또 지빅이라는게 필요하다. 암튼 복잡복잡..얘네들끼리 호환이 되는것도 있고 안되는 것도 있는데다가 지빅도 종류가 있고 가격도 후덜덜해서 한 번 발주 넣을 때 잘 넣어야 한다고 한다. 내가 SW를 하는게 맞는건지 의심스러운 순간이다~ 암튼 이렇게 하고나면 랙을 설치한다. 이 쯤 되면.. PaaS-TA 교육 이론 정리 1. Cloud Basic 1) Cloud 이해 (1) 기본속성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네트워크 기반의 컴퓨팅 기술로 컴퓨팅 리소스를 데이터센터에 대량으로 집적시킨 후, 개별 이용자가 요구하는 만큼 가상으로 분리하여 정보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사용량에 비례하여 비용이 청구되는 서비스이다. - 특징 : 주문형 셀프 서비스, 광범위한 네트워크 접속, 리소스 공유, 신속한 확장성, 측정 가능한 서비스 - 유용성 : 경제성, 유연성, 가용성, 빠른 구축 속도 (2) Cloud 발전과정 - 다양한 기업들이 클라우드 기반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 최근 오픈소스 기반의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이 각광 (3) Cloud 기반 사업 추진 기업 (4) 트렌드 2) Cloud Model 및 특징 이해 (1) Cloud Model..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