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Dockerfile 빌드 시 yum update && yum install과 yum update \ yum install의 차이 1. yum update \ yum install Sending build context to Docker daemon 8.192kB Step 1/2 : FROM centos:6.9 ---> 2199b8eb8390 Step 2/2 : RUN set -eux; yum update -y yum install -y wget && rm -rf /var/lib/apt/lists/* ---> Running in 83388cf88de3 + yum update -y yum install -y wget Loaded plugins: fastestmirror, ovl Setting up Update Process No Match for argument: install No package install available. P.. Ceph Dashboard 접근하기 Ceph는 ToolBox를 통해 클러스터의 상태를 알 수 있지만 자체적으로 Dashboard도 제공한다. Kubernetes 환경에서 Ceph Dashboard를 접근해보았다. 1. Ceph Cluster.yaml을 통해 dashboard 활성화 - cluster.yaml을 보면 spec > dashboard 항목이 있다. spec: (중략) dashboard: enabled: true port: 8443 ssl: false 최신버전의 ceph는 기본 포트 8443을 사용한다. cluster.yaml을 적용한다. 2. SVC 확인 [root@test]# kubectl get svc -n rook-ceph NAME TYPE CLUSTER-IP EXTERNAL-IP PORT(S) AGE csi-cephfsp.. NFS를 볼륨으로 사용하는 Pod 만들기 (2) - StorageClass 생성하지 않아도 된다. apiVersion: v1 kind: PersistentVolume metadata: name: nfs-pv spec: capacity: storage: 1Gi # storageClassName: X persistentVolumeReclaimPolicy: Retain accessModes: - ReadWriteOnce nfs: server: 192.X.X.X path: '/nfs' readOnly: false --- kind: PersistentVolumeClaim apiVersion: v1 metadata: name: nfs-pvc spec: # storageClassName: X accessModes: - ReadWriteOnce resources: .. INTRO TO CEPH Ceph Storage Cluster의 배포는 각 Ceph Node, Network, Ceph Storage Cluster 설정으로 시작된다. Ceph Storage Cluster는 최소 1개의 Ceph Monitor, Ceph Manager, Ceph OSD (Object Storage Daemon)을 필요로 한다. Ceph File System Client를 실행할 때 Ceph Metadata Server도 필요하다. - Monitors : Ceph Monitor(ceph-mon)는 Monitor, Manager, OSD, MDS, CRUSH의 맵을 포함하여 클러스터의 상태 맵을 유지한다. 맵은 Ceph 데몬들이 서로 상태를 유지 할 때 필요하다. Monitor는 데몬과 클라이언트 간의 인증을 담당하.. NFS를 볼륨으로 사용하는 Pod 만들기 (1)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busybox labels: app: busybox spec: volumes: - name: nfs-hostpath hostPath: path: /nfs [실제 nfs가 mount 된 경로] containers: - image: busybox imagePullPolicy: IfNotPresent name: busybox volumeMounts: - mountPath: /var/www/html [Pod 경로] name: nfs-hostpath Ubuntu 18.04에서 NIC Bonding 하기 한 달 만에 글쓰는거 참트루인가;; NIC 본딩을 해 볼 기회가 생겨서 VM으로 테스트해보았다. - 네트워크 본딩이란? 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단일 인터페이스로 결합하는 프로세스이다. 네트워크 처리량과 대역폭을 증가시켜 성능을 개선해준다. 한 인터페이스가 다운되면 다른 인터페이스가 작동하는 내결함성을 가지고 있다. (1) 로그인 이후 ifenslave를 설치한다. sudo apt-get install ifenslave (2) 본딩 커널 모듈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sudo lsmod | grep bonding 조회되는 값이 없으면 modprobe를 사용해서 로드해준다. sudo modprobe bonding 재조회해본다. sudo lsmod | grep bonding --- bonding 163.. ceph osd 생성 안될 때 ceph cluster를 재구성시 osd가 생성되지 않을 때가 있다. 이 때에 operator 로그를 보아도 커넥션이 안되서 네트워크 문제인가 하고 아리송할 수 있는데 ceph를 구성하는 호스트들의 ceph 폴더를 지우고 클러스터를 재구성하면 잘 된다. ls /var/lib/rook/ rm -rf /var/lib/rook/ 보면 이전에 구성했던 파일들이 남아있어 문제가 발생한다. 삭제 이후 클러스터 구성을 다시 해주면 osd가 잘 뜨는 것을 볼 수 있다. 툴박스를 설치했다면 명령어를 통해 ceph 상태를 체크하도록 한다. kubectl exec -it -n rook-ceph [rook-ceph-tools-pod] -- ceph -s 이전 1 ··· 5 6 7 8 9 10 11 ··· 28 다음